|
| 1 | +/** |
| 2 | + * Definition for singly-linked list. |
| 3 | + * function ListNode(val, next) { |
| 4 | + * this.val = (val===undefined ? 0 : val) |
| 5 | + * this.next = (next===undefined ? null : next) |
| 6 | + * } |
| 7 | + */ |
| 8 | +/** |
| 9 | + * @param {ListNode} list1 |
| 10 | + * @param {ListNode} list2 |
| 11 | + * @return {ListNode} |
| 12 | + */ |
| 13 | +var mergeTwoLists = function (list1, list2) { |
| 14 | + // 가짜(head 역할을 할) 임시 노드 생성 |
| 15 | + // 실제 결과 리스트는 dummy.next부터 시작됨 |
| 16 | + let dummy = new ListNode(-1); |
| 17 | + |
| 18 | + // 현재 노드를 가리킬 포인터. 처음엔 dummy에서 시작 |
| 19 | + let current = dummy; |
| 20 | + |
| 21 | + // 두 리스트 모두 null이 아닐 동안 반복 (비교 가능한 노드가 있을 때까지) |
| 22 | + while (list1 !== null && list2 !== null) { |
| 23 | + // list1의 현재 값이 더 작으면 list1 노드를 current.next에 붙임 |
| 24 | + if (list1.val < list2.val) { |
| 25 | + current.next = list1; // current 뒤에 list1 노드 연결 |
| 26 | + list1 = list1.next; // list1 포인터를 다음 노드로 이동 |
| 27 | + } else { |
| 28 | + current.next = list2; // current 뒤에 list2 노드 연결 |
| 29 | + list2 = list2.next; // list2 포인터를 다음 노드로 이동 |
| 30 | + } |
| 31 | + current = current.next; // current 포인터도 다음 노드로 이동 (리스트를 계속 이어가기 위해) |
| 32 | + } |
| 33 | + |
| 34 | + // 위 반복문을 빠져나오면, 둘 중 하나는 null이 됨 |
| 35 | + // 나머지 하나는 아직 정렬된 상태이므로 그대로 뒤에 붙여줌 |
| 36 | + current.next = list1 !== null ? list1 : list2; |
| 37 | + |
| 38 | + // dummy는 첫 번째 노드를 가리키는 용도였으니, 실제 결과 리스트는 dummy.next부터 시작 |
| 39 | + return dummy.next; |
| 40 | +}; |
| 41 | +// 시간 복잡도: O(n + m) (n: list1의 길이, m: list2의 길이) |
| 42 | +// 공간 복잡도: O(1) (추가적인 공간 사용 없음) |
0 commit 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