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kookmin-sw/capstone-2025-11

Folders and files

NameName
Last commit message
Last commit date

Latest commit
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
Repository files navigation

Review Assignment Due Date

WIGO - 시각 장애인 및 초행자용 실내 네비게이션

1.1. 프로젝트 명

베너

1.2. 프로젝트 기간

  • 프로젝트 기간 : (2025.01.03 ~ 2025.05.30)
    (추후 사진 추가)

1.3. 프로젝트 팀 소개

이강욱 박주빈 박재영 안선영 조성준
image image image image image
Project Leader, Back-End (SLAM 및 Android-SLAM 간 통신 인터페이스 구축 담당) Back-End (SLAM 및 미디어 서버 구축) Full Stack (Android UI/UX 및 미디어 서버 구축) Back-End (SLAM 및 미디어 서버 구축) Front End (Android UI/UX) 및 Android-SLAM 간 통신 인터페이스 구축 담당

1.4. 프로젝트 소개 영상

(추후 업로드)

2.1. 프로젝트 개요

이 프로젝트는 시각장애인, 초행자, 노약자를 위한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일반적인 내비게이션이 주로 야외에서 활용되는 반면, 본 프로젝트는 실내 환경에서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
📍 주요 특징

  • Visual SLAM 기반 실내 위치 인식
  • 스마트폰 카메라 및 센서 활용 길 안내
  • 음성 안내 & 진동 피드백을 통한 직관적 인터페이스
  • 특수 장비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사용 가능

이 시스템은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초행자, 노약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복잡한 실내 환경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한 길 안내를 제공합니다. 기존 실내 내비게이션은 비싼 장비나 별도의 인프라(비콘, RFID 등) 가 필요해 접근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습니다. 또한, 시각장애인은 실내에서 점자 블록이나 안내견에 의존하지만, 모든 공간에서 이러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

💡 이 프로젝트가 필요한 이유

  •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한 실내 내비게이션 필요
  • 스마트폰 보급률 증가 → 별도 장비 없이 사용 가능
  • 시각장애인, 초행자, 노약자도 독립적인 이동 가능

🎯 프로젝트 차별점

  • 고가 장비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실내 위치 인식
  • 초행자도 직관적으로 사용 가능
  • 공공기관, 쇼핑몰, 지하철 등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 가능

2.2. 시나리오 설정

(자유롭게 작성)

2.3. 주요 기능

  • 사용자의 실내 위치를 파악하고 화면에 표시한다.
  • 실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선택하면 적절한 경로를 화면과 음성 피드백으로 안내한다.
  • 경로는 주요 타겟층인 시각장애인들을 고려하여 계단 등 위험한 장소보다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로로 작성한다.
  •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경로 이탈 시 알림 혹은 경로 재생성을 진행한다

3.1. 개발환경

(예시)

  • OS : Windows 11 / Ubuntu 20.04
  • Language : Kotlin, Java, C++
  • Android : Android 13.0 (Tiramisu) 이상
  • Developer Tools : Android Studio / VS Code
  • 버전 관리 : GitHub

3.2. 사용한 API

(추후 작성)

3.3. 필요한 라이브러리

(추후 작성)

4. 화면설계 및 기능 구현

(추후 작성)

5.1. 최종 결과

(추후 작성)

5.2. 개선 해야 할 사항

(추후 작성)

About

2025-1-cap-template created by GitHub Classroom

Resources

Stars

Watchers

Forks

Releases

No releases published

Packages

No packages published